카테고리 없음

북한 원전 추진? (탈원전, 윤석열, 추미애, 미국)

에이전트C 2021. 1. 29. 12:08
반응형

북한 원전 추진 문재인 윤석열

 

월성 1호기. 연합뉴스

월성 원전 조기 폐쇄 결정

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 결정이 내려졌는데요,

'경제성'이 현저히 낮게 평가됐다는

감사원의 평가가 있었지만 

조기 폐쇄 결정은 

그대로 진행되었습니다.

 

즉시 가동 중단을 제외한

다양한 대안을 검토하도록

지시하지 않은

정재훈 한수원 사장...

 

당시 반발은 많았으나

흐지부지 되면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은

가속화됩니다.

 

그런데

산업통상자원부 복도 직원 이동, 사진=뉴스1

북한 원전 추진?

국내에서는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을

강조했기 때문에

'탈원전'을 선언한

문재인 정부였습니다.

 

탈원전, 탈원전 외치던 정부가

정작 북한원전을 지어주려 했던

정황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끝까지판다1 SBS
SBS

삭제 문건 발견

SBS '끝까지 판다'팀이 입수한 결과

모두 31페이지의 분량의

공소장을 찾을 수 있었다고 하는데요,

(직원 공소사실, 삭제 파일 530개)

 

직원이 새벽에 사무실에 들어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직, 간접 관련 자료삭제했다고 합니다.

 

이건 시작에 불과했고,

끝까지 판다팀은 지금까지

5개의 기사

북한 원전 추진에 대해

보도를 했습니다.

SBS

공무원들이 삭제한 이 자료 530건 중에는

청와대 협의 및 보고 문건 다수와

청와대-산업부 연락 정황,

원전 반대 시민단체 동향 문건도 

있었다고 합니다.

 

SBS

60 pohjois, 북원추... 도대체 뭔데?

 

기사에서 발췌,

복원 결과 이 파일들은

'60 pohjois'라는 상위 폴더 아래에

있었는데요,

'뽀요이스(pohjois)'는

핀란드어로 '북쪽'이라는 뜻입니다.

북한 원전 추진에

보안을 

철저하게 신경 썼다는 거죠.

 

또한

'북원추'(북한 원전 추진방안 약자 추정

폴더에서

버전이 2개인

'북한지역 원전 건설 추진방안'

파일이 삭제된 것이 포착됐고

 

이 밖에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경험자 명단과 각 전문가 목록 등도

포함되어 있다가

삭제되었다고 합니다.

 

우연? 독단적 삭제?

산업부는 자료 삭제에 대해 사과,

파견 국장이 독단적으로 지웠으며

이는 '우연'이라고 주장해왔는데요,

 

검찰은 수사 결과

부처 최고위층 승인 및

산업부의 조직적 개입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어서

일에 가담한 이들을

재판에 넘겼습니다.

 

놀라운 것은

17개 파일 중 생성 날짜가 적힌

6개의 파일 모두 

2018년 5월 2일~15일

작성됐다고 하는데요,

이 기간은 

1차, 2차 남북정상회담 사이입니다.

 

네이버 뉴스 실시간 검색

 

네티즌들의 반응을

보시죠.

 

인상시켜야지

 그래야 북한에 원전해줄 거 아냐 

국민들한테 세금 걷어서 

북한 주는 미친 수장 아니냐 이거ㅡㅡ

(qaze****)

-담뱃값 인상 기사

 

미친 북한에서 원전사고 나면

우리가 피해 보는 건

매한가지 아닌가 ㅡㅡ

(didd****)

-북한 원전 추진 기사

 

등 분노를 일으키는 반면에

 

일각에서는

'1,2차 남북정상회담이 오가던

남북훈풍 시기에 

추진한 전략이라

문제가 없다'

라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윤석열 검찰총장

추가로 다른 의견도 있었는데요,

 

추미애 전 장관 등이

'윤석열 총장 몰아내기(직무 정지)를

하려던 이유가 북한에 원전 기술을

넘기려는 게 아니냐'

등의 글도 있었습니다.

 

에너지전환포럼

이미 북한 원전 추진에 대해

다른 나라를 확인해보죠.

 

북한 원전 옆 나라

일본의 경우

후쿠시마 사고도 있었습니다.

 

한편 미국

'무탄소 발전'과

'원전 르네상스' 등

한국의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과는 다른 정책

펼치고 있습니다.

 

어쨌든 북한 원전 추진이

사실로 밝혀졌기 때문에

검찰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루빨리

진실이 밝혀져야 할 텐데요,

 

문재인 정부와 산업부가

이를 어떻게 해명할지,

이것이 또 어떤 국면을

이끌어낼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